프랑크푸르트 아침 결혼식(수학자의배낭여행), 독일 프랑크푸르트
그래서 김소연 / 낭송 주정애
[리트머스 : 저자] 김소연 인터뷰 | 인터뷰 김소연 인터뷰(KOR/ENG SUB)
[시낭송] 수학자의 아침 - 김소연 / 사진 - 정오윤
김상욱 교수가 사랑하는 물리와 감성적인 문학의 만남! '수학자의 아침' #highlight #책읽어주는나의서재 EP.10
이 세상은 죽음의 세상이죠' 수학자의 시선으로 본 우리의 세상 #책읽어주는나의서재 EP.10 | tvN STORY 210727 방송
{수학자의 아침} 속 '추위'에 담긴 정치적 의미는 무엇일까?? #책읽어주는나의서재 EP.10 | tvN STORY 210727 방송
[10화 선공개] 수학자가 아침을 여는 방법은!? #수학자의_아침 #책읽어주는나의서재 EP.10
[책 한 장 읽어드립니다] 물리학자 김상욱 교수의 {수학자의 아침}#책읽어주는나의서재 #책읽어주는나의서재 EP.10
[다음이야기] 물리를 시라고 볼 수 있다? 김상욱 교수의 ‘수학자의 아침’ #책읽어주는나의서재 EP.10
[10화 예고] 물리학과 문학의 만남, 김상욱 교수가 읽어주는 시 ‘수학자의 아침’ #책읽어주는나의서재 EP.10
현관문 / 김소연, 시해설, 시집 『수학자의 아침』 문학과지성사, 2013
reading. 슬픔을 생각하는 초여름 | 김소연 | 수학자의 아침 | 독서브이로그 | 독서기록
초저녁 모닥불 앞에서 시덕후가 추천하는 시집 l 하루철학 #004
세포 덕후들 주목👀 슬픔의 영역은 이성 세포 담당 vs 감성 세포 담당, 당신의 생각은?! | #책읽어주는나의서재 #사피엔스
몬드리안 vs 칸딘스키! 당신은 '차가운 추상'과 '뜨거운 추상'의 차이점을 아시나요? | #책읽어주는나의서재 #사피엔스
11월 첫주 눈 내리는 대관령 평창아침~
여러분의 아침은 무엇으로 깨어나 당신을 살게하나요?-[수학자의 아침/김소연]
책 읽는 시간 [수학자의 아침]
(선공개) '깊은 밤'은 있지만 '깊은 아침'은 없다?! | #책읽어주는나의서재